본문 바로가기
경제·금융

'빅스텝(Big Step)'과 인플레이션

by 자유로운영혼되고싶다 2022. 6. 29.
728x90
반응형

요즘 경제 뉴스를 접하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단어가 있습니다. 

 

'빅스텝' 과 '자이언트 스텝'인데요.

 

'빅스텝'이란 무엇을 뜻할까요?

 

빅스텝은 연방준비제도(연준)을 비롯한 중앙은행에서 기준금리를 0.5%p씩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미국 연준은 보통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0.25%p씩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이걸 '베이비 스텝'이라고 부르죠. 

 

이것보다 더 큰 폭인 0.5%p를 올리는 것을 더 큰 폭으로 움직인다 하여 '빅 스텝'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이것보다 더 큰 0.75%p올리는 것을 '자이언트 스텝'이라고 하고요.

 

연준은 2000년 '닷컴버블' 이후로 22년 만에 빅 스텝을 밟았습니다. 이처럼 빅 스텝은 시장경제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발생하는 일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지금 금리 인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금리 인상의 이유

인플레이션

금리 인상의  목적은 인플레이션 억제를 통한 물가 안정화입니다.

 

기준 금리를 올리게 되면 시중에 풀린 자금이 은행으로 몰리게 됩니다. 

 

가계와 기업 입장에선 높은 금리가 부담이 되어 대출을 줄이게 됨과 동시에

 

전체적으로 소비와 투자가 줄고 오히려 저축이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하게 되죠.

 

투자와 소비가 줄어 수요가 줄으니 자연스레 인플레이션은 억제가 됩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짚고 넘어가야 할 것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은 왜 발생하게 된 것일까요?

 

인플레이션 원인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은 수요와 공급에 불균형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물건을 사려는 사람이 많은데 팔려는 사람이 적다면 자연스레 물건값은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즉,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물건값이 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져 물가가 오르게 되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요가 늘어 물가가 오르는 경우공급이 줄어 물가가 오르는 경우입니다.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인플레이션은 두 가지 모두 해당됩니다. 

 

먼저, 공급적 측면에선,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공급 감소입니다. 

 

세계 경기가 회복되면서 소비가 늘게 되고 동시에 원유 등 원자재 수요가 크게 늘었습니다.

 

그럼에도 세계 각국은 친환경 에너지 정책으로 고탄소 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축소해 국제 원재자 가격이 폭등했습니다.

 

수요가 늘어난 만큼 공급이 늘어야 하는데 원재자 가격 상승이 부담이 되어 공급이 크게 늘어나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또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서 전쟁이 발발해 국제 곡물 공급에 큰 차질이 빚어지는 것도 물가 상승에 한몫을 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수요적 측면으로, 팬더믹 사태로 인한 경기 부양책의 영향입니다.

 

전 세계는 코로나19라는 거대 팬더믹 사태를 겪으면서 위축된 소비 증진을 위해 엄청난 경기 부양책을 내놓았습니다.

 

우리나라만 해도 전 국민을 대상으로 코로나 지원금을 내놓았죠.

 

이런 지원금이 소비로 이어지게 되면 수요 증가를 가져오는 결과로 나타납니다.

 

결국 수요 증가는 인플레이션을 부축이게 되는 것이지요.

 

2022.07.03 - [경제·금융] - 물가는 오르지만 경기 침체의 늪 : 스태그플레이션이란?

반응형

댓글